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전남대·조선대병원 18일 ‘휴진’…속 타들어가는 환자들

등록일 2024년06월14일 08시13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광주·전남 상급종합병원인 전남대·조선대병원이 오는 18일 의료계 전면 휴진에 동참한다.


다만, 전남대병원은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 진료를 유지할 방침이며 조선대병원은 휴진 참여 여부를 교수 각자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이에 서울 대형병원 등의 무기한 휴진에 비해 의료 공백이 덜 할 전망이지만 환자와 보호자들은 응급 상황 발생 우려로 또 다시 속을 끓이고 있다. 또한 3-6개월 전 진료 예약자들 역시 진료 일정 변경 혼선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전남대 의대·전남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호소문을 내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전면 휴진에 동참, 광주 본원과 화순전남대병원, 빛고을전남대병원 소속 교수들이 참여한다”고 밝혔다.

응급, 외상, 감염, 분만, 신생아, 중증, 신장투석 환자 등 필수 진료는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전남대병원 교수 비대위가 지난 11-12일 이틀간 찬·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 참여 교수의 79%가 전면 휴진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혔다. 전체 응답자의 87.6%는 의협의 총파업 방침에 지지를 표명했다.

전남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전공의와 학생들이 수련과 학업 현장을 떠난 지 4개월째에 접어들었다. 정부는 의료계 대표 단체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집단 이기주의로 몰아가고 있다”며 “독단적인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해 의료인들이 호소할 방법은 전면 휴진이라는 결집된 의견 개진 밖에 없다는 것을 부디 이해해달라”고 강조했다.

조선대병원 교수 비대위도 지난 10-12일 교수 141명을 대상으로 한 찬·반 투표 결과, 84.2%가 휴진에 찬성함에 따라 18일 하루 휴진한다. 휴진 참여 여부는 각 교수의 자율적 판단에 맡기기로 했으며 필수 부서 진료는 전남대병원과 마찬가지로 유지한다.

조선대병원 교수 비대위 관계자는 “휴진에 찬성했더라도 당일 상황에 따라 진료를 중단하지 않는 교수가 있을 수 있다”며 “투표 결과에 나타난 단체적인 의견에 의미를 부여해달라”고 당부했다.

개원의가 전체 회원의 약 60%를 차지하는 광주시의사회와 전남도의사회도 휴진 참여 여부를 회원 자율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이같은 소식을 접한 입원·외래 환자들과 보호자들은 혹시나 있을 응급 상황에 대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정부와 의료계의 강 대 강 대치 장기화에 애꿎은 환자들이 ‘볼모 신세’가 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전립선암 수술을 받고 입원 중인 김모(66)씨는 “수술이 잘 됐다고는 하지만 불안하다”며 “퇴원 후 한동안 외래 진료를 받아야 하는데 휴진을 이유로 날짜를 미루거나 할까 봐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고열 등으로 병원을 찾았다 폐렴 진단을 받고 입원 중인 80대 노모를 간호하고 있는 보호자 박모(53)씨는 “어머니가 고령이셔서 증세가 악화될까 염려된다”며 “이래저래 늘 마음을 졸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신장이식 수술을 받고 정기적으로 외래를 찾고 있는 최모(50)씨도 “3개월 간격으로 혈액 검사 등을 하고 진료 및 처방을 받고 있다. 3개월 전 진료 날짜가 결정돼 회사에 연차를 신청했는데 휴진으로 인해 진료 일정을 변경해야 한다”며

 

“지난 2월에도 전공의 이탈로 인해 진료 날짜를 한 차례 바꿨었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립과 불통으로 환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어 하루빨리 의료 현장이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천진영 전문기자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연예 스포츠 플러스 핫이슈

UCC 뉴스

포토뉴스

연예가화제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