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이번 주부터 22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협상에 들어가는 가운데 광주·전남 의원 중 ‘국회의원의 꽃’인 상임위원장이 나올지 주목된다.
장관급인 상임위원장은 상임위 전체회의 개최 여부, 법안 논의 등 막강한 권한을 갖는다.
특히 상임위원장이 되면 2년 뒤 시행될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군에 자연스럽게 거론된다. 지역 내에서의 정치적 영향력이 한 단계 높아지는 것이다.
상임위원장은 통상 3선 이상이 맡아 전남에서 박지원(5선·해남완도진도) 당선자와 이개호(4선·담양함평영광장성)·서삼석(3선·무안영암신안)·신정훈 의원(3선·나주화순)이 후보군이다.
광주는 3선 이상 의원이 없어 광주 출신 상임위원장은 22대 국회에서 볼 수 없다.
이들 가운데 고위 관료와 상임위원장 경력이 있는 박 당선자와 이 의원은 후보군에서 제외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당내 사정 등을 고려하면 서삼석·신정훈 의원이 상임위원장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
서 의원은 농해수위원장, 신 의원은 지역발전에 도움을 줄 상임위원장에 도전할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내에서 농해수위원장은 서 의원을 비롯해 어기구(충남 당진)·안호영 의원(전북 완주진안무주장수)이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변수는 서 의원이 21대 국회에서 1년 간 예산결산위원장을 맡았다는 점이다.
상임위원장 임기는 2년이라, 서 의원 측은 1년은 더 해야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여기에 20대부터 내리 농해수위원으로 활동한 전문성을 내세우고 있다.
서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지역 농림어업 발전사업 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안’, ‘농촌 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에 관한 법률안’ ‘임업·산림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직접지급제도 운용에 관한 법률안’ 등 농업 관련 제정법을 다수 통과시켰다.
서 의원실 관계자는 “국회 등원 이후 계속해 농해수위원으로 활동했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지역발전에 도움을 줄 상임위원장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상임위원장이 되려고 지역발전과 관련이 없는 위원장은 맡지 않겠다는 것이다. 신 의원은 산자위, 국토위, 행안위 등을 고려하고 있지만, 민주당 내 경쟁자가 많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신 의원실 관계자는 “상임위원장 자격은 되지만, 지역발전에 도움이 안 되는 상임위원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민주당 출신 상임위원장은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결정한다. 22대 당선자 가운데 이전 국회 상임위원장 경력자 등을 제외한 3선 이상 20여명이 후보군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다수 의원이 상임위원장을 원하기 때문에 의원들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