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내란수괴 윤석열의 즉각 퇴진과 구속 수사를 촉구한다"

한국기자협회 등 9개 언론현업단체 4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

등록일 2024년12월05일 09시06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기자협회를 비롯한 9개 언론현업단체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군을 동원해 민주 헌정질서를 중단하고 국민 기본권과 언론자유를 짓밟은 헌법 위반이자, 내란죄로 다스려야 할 중범죄”라며 윤 대통령의 즉각 퇴진과 구속 수사를 촉구했다.


 

4일 한국기자협회와 방송기자연합회·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한국방송촬영인연합회·한국사진기자협회·한국영상기자협회·한국편집기자협회·한국PD연합회 등 9개 언론현업단체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전날 밤 계엄 선포 직후 150분여 만에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통과된 국회 등 급박하게 돌아간 현장을 최일선에서 취재했던 언론인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오늘 이 시간부터 윤석열은 더 이상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 아니다. 우리 언론인들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언론자유를 지키기 위해 변함없이 국민의 곁에 설 것”이라고 선언했다.

 

박종현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언론인 여러분 간밤에 너무 고생하셨다. 죄송하게도 앞으로도 더 고생을 하셔야 할 것 같다”고 말문을 연 뒤 “계엄령을 선포하는 내용과 형식 어느 하나도 국민 눈높이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난도질을 했다. 윤석열의 잘못된 괴물 짓거리 150분이었다”고 비판했다.

 

 

4일 한국기자협회를 비롯한 9개 언론현업단체가 진행한 긴급 기자회견에서 박종현 한국기자협회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

박 회장은 “앞으로는 이 시간이 15일이 될지 150일이 될지, 그가 해온 행태로 봤을 땐 짧게 끝나지 않을 수 있다”며 “그 즉흥성으로 말미암아 전혀 예상치 못하는 방향으로 우리 사회가 변곡점을 맞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두 눈 부릅뜨고 (언론인들이) 우리 사회와 국민의 편에서 함께 노력해 주셔야 될 것 같다. 저희도 긴장의 끈 놓지 않고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어제 저 무도한 윤석열의 친위 쿠데타가 성공했더라면 여기 계신 언론인들, 이 앞에 서 있는 언론단체 대표들 다른 데서 만나야 했을지도 모른다. 밤새 안녕이라는 말이 실감나는 하루”라고 말을 꺼냈다. 이어 그는 “서울 상공을 휘감았던 무장헬기의 굉음을 들으면서 80년 광주를 떠올렸고, 말 안 들으면 처단하겠다는 계엄 포고령을 보고 전두환 정권의 악랄했던 언론 통제를 떠올렸다”며 “언론에도 촉구한다. 더 이상 계엄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지 말아 달라. 계엄을 참칭한 내란 목적의 쿠데타였다”고 말했다.

 

또 윤 위원장은 “여기 있는 언론단체들이 권력의 퇴진, 대통령의 구속을 요구하는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라며 “이제 언론인들 똘똘 뭉쳐서 윤석열을 끌어내리고 내란죄로 감옥에 갇히는 모습을 볼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박성호 방송기자연합회 회장은 “계엄이 해제된 1일 차이자 윤석열을 자리에서 몰아내야 할 1일차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을 지칭하며 “언론계, 방송계에는 윤석열이 내려보낸 계엄군이 이미 주둔해 검열하고 감시해 왔다”고 지적했다.

 

박성호 회장은 “우리는 윤석열 체제 사임, 윤석열 체제 퇴진, 윤석열 체제 붕괴를 온 국민이 이제 봐야 할 상황에 왔다”며 “우리가 할 일은 펜과 마이크로 국민들의 아우성을 담아 윤석열과 그 일당에게 전해야 한다”고 했다.

 

나준영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은 “어젯밤 계엄령 선포 방송을 보고 깜짝 놀라서 대통령실 출입 기자에게 전화했더니 전혀 사실을 알지 못하고 본인도 당황하고 있었다”고 전하며 “포고령 내용의 주 골자는 정당과 정치 활동을 금지시키고 모든 언론과 출판은 통제한다는 내용이었는데 바로 전 국민이 ‘입틀막’하라는 이야기, 입틀막 계엄을 하겠다는 이야기로 들렸다. 이 무도함에 정말 치를 떨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한민국이 다시 발전할 수 있는 그 전기를 마련하는 데 힘을 쏟아야 될 것이고, 그 현장에서 우리 모든 언론인 방송인들이 현장을 기록하고 세상에 알리고 역사로 전하는 그 힘을 발휘해야 한다”고 했다.

 

김승준 한국기술인연합회장은 “어제 그 시각 여의도에 있었다. 가족이 보고 싶었다”며 “오늘 아침 가족들과 같이 눈을 뜨고 기자회견장으로 오는, 이렇게 정상적인 그 일이 굉장히 고맙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 계엄 선포와 함께 이루어진 언론 탄압은 방송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며 “저희 방송기술인은 공정보도와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 어떠한 외압에도 굴하지 않고 방송계의 본질을 수호하겠다”고 덧붙였다.

 

 

류태환 대기자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연예 스포츠 플러스 핫이슈

UCC 뉴스

포토뉴스

연예가화제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